상법총론을 제외하면 나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거두었습니다.

 

 

 

다음은 각 과목별 시험준비방법 기타 팁입니다.

 

상법총론 / 전공선택​

 

 

: 수강생이 13명 정도였고 시험문제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형태로 나왔기 때문에 시험을 치른 후 적잖이 실망했고 그래서 위 결과도 납득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기말시험 준비하느라 만든 120쪽의 자료는 계속 잘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헌법1 / 전공필수

 

 

: 전공필수라서 학사엄정화에 따라 1개 분반에 A+ 취득가능인원이 7% 정도이고 3개의 분반으로 나뉘어 있으며, 최초시험이었던 중간시험을 마음이 앞선 나머지 앞문제는 자세히 쓰고 뒷문제는 시간이 없어 요점만 쓰고 말았던터라 기말시험에서의 노력에 불구 A-에 그쳤습니다. 그러나 중간시험을 아쉽게 보았던 것치고는 나름 방어에 성공한 셈입니다.

 

민법총칙, 채권법1 / 전공선택

 

 

: 사법시험 준비시절 민법을 득점과목이 아니라 방어과목으로 삼으며 손실을 최소화하는 한편 헌법, 형법에서 고득점하겠다는 전략을 몇 차례 세웠다가 뜻대로 되지 않아 후회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사법시험 폐지후 법원행시를 준비하면서부터는 민법을 득점과목으로 삼을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더랬는데 그 성과를 이렇게 로스쿨 민법 수업에서 얻게 된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선택형 시험에서 고득점하고 있었고, 사례형도 비교적 익숙한 쟁점들이 민법 사례 스터디를 열심히 운영하고 있었으므로 전공선택과목에서 A+을 받기에는 충분한 조건들이 갖추어진 터였습니다.

형법총론 / 전공필수

 

 

: 안원하 교수님 분반으로서 두 차례씩 치룬 퀴즈와 과제를 열심 수행했고(퀴즈와 과제 모두 전날 밤을 학교에서 꼬박 새우면서 준비) 제가 좋아하는 과목이 형법이었으므로 사례 풀이 역시 어느 정도 대비가 되어있었습니다.

다만 전공필수로 A+ 획득가능인원이 제한적이고 또 학점이 랜덤하게 부여된다거나 사시준비경험자가 C+학점을 받고서 좌절한 수업이라는 소문 등을 접했던 터라 실제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끝까지 긴장해야 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저로서는 다행스럽게도 A+가 나왔습니다.

법조윤리 / 실무필수

: 이일권 변호사님께서 지도해 주셨습니다. P/F 결정은 출석과 모의시험 성적에 의하는데, 결석 없이 수업을 들었고, 법조윤리 문제풀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모의시험도 무난히 통과했습니다.

 

법률정보조사/ 실무필수

: 백진규 변호사님께서 지도해 주셨습니다. P/F 결정은 수업 및 강연 출석과 과제 제출에 의하였으므로 무난히 통과할 수 있었습니다.

 

지도교수

: 임재호 교수님께서 지도해 주셨습니다. 정년퇴임을 앞두고 계셨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이 1년간 지도교수가 고정되었던 것에 비해 저는 2학기에 지도교수가 변경됐습니다.

 


이 기세에 힘을 좀더 보태서 1-2학기에는 더욱 열심히 해서 좀더 나은 성적을 받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1-1학기의 위 성적획득 당시 저는 1학년 6등이었는데, 2학기 개강 후 느즈막한 10월경에 지급된 전액장학금이 5등에서 끊겼기 때문에 저는 반액장학금을 받으면서 살짝 아쉬움이 남았더랬습니다. 어떤 해에는 6명, 어떤 해에는 5명 등으로 다소 들쑥날쑥했기에 반액만 받을 가능성도 어느 정도 예상은 했었지만 말입니다.

ㅡ 2019. 7. 3.

 

 

변호사시험을 치르려면 법조윤리시험에 합격해야 하고, 법조윤리시험을 치르려면 로스쿨재학 중 법조윤리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법조윤리과목의 이수요건으로 부산대학교에서는 법조윤리 기출문제 중 40개를 추출해서 시험치르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이 법조윤리시험은 6월 21일(금) 오후 3시에 치르게 되었는데, 제 경우 동일 정오부터 2시까지 채권총론 시험을 치뤄야 하는 상황이었으므로 법조윤리시험 준비를 위해 기출문제를 돌아볼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아 보였습니다.

이에 법조윤리 기출문제를 좀더 신속하게 풀어볼 수 있도록 엑셀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그 결과를 여기에 공개합니다. 제1회 법조윤리시험으로부터 모든 법조윤리시험문제가 들어있습니다.

 

엑셀로 만든 법조윤리 문제풀이 시스템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ㅡ 응답란에 T/F를 입력하면 즉시 정오가 표시됩니다. 이걸 이용해서 모든 지문을 O/X문제처럼 풀면됩니다.

 

다음으로, 응용사용방법은 2가지입니다.

ㅡ 첫째, 문제를 푸는 틈틈이 평가란에는 지문의 난이도를 고려해서 1~5 사이의 숫자를 입력합니다. 가령, 꼭 다시보고 싶은 지문은 5, 다시 안 봐도 될 지문은 1을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그 후 모든 지문의 난이도 평가가 끝나면 평가란 제목의 필터버튼을 눌러서 안 봐도 될 지문의 난이도를 제거합니다.

ㅡ 둘째, 자율 코멘트란에 해당 지문의 풀이에 도움되는 힌트, 풀이방법, 틀린 이유나 맞는 이유 등을 스스로 입력하며 공부합니다.

 

※ 주의: 아래 파일에는 일부 법령등의 변경으로 정오가 달라지거나 지문 표현이 부적절한 지문이 수정없이 원본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이 부분은 자율코멘트란 등에 스스로 기재하며 회피하도록 합시다.

(AZ로스쿨) 법조윤리 문제풀이 시스템.xlsx
0.27MB

ㅡ 2019. 6. 24.

민법의 중요성과 민법사례 연습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동기들이 공감하고 있었기 때문인지 저희 부산대 로스쿨 11기 학생들도 삼삼오오 민법스터디 그룹을 조직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조직된 민법스터디 그룹 중 아마 가장 독특한 활동을 했던 곳이 제가 소속되었던 민법사례 스터디모임이었을 것입니다.

우선 이 모임에서는 제가 직접 각종의 기출문제나 교과서 사례, 기타 개념을 참조, 응용해서 문제를 직접 출제했고, 그에 대한 예시답안도 직접 작성한 뒤 답안작성시간을 마치고 강평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저희 모임에 참여한 스터디원은 부산대 로스쿨 11기 입학동기 132명 중 약 10%에 이르는 13명이었습니다.

이에 저희 스터디모임에서 다룬 문제와 예시답안들을 여기에 참조용으로 올려둡니다. (문제풀이 및 강평시간 전후로 수정된 오류가 아래 파일에는 일부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민법사례스터디] 001-A. 부동산 이중매매의 문제.pdf
0.05MB
[민법사례스터디] 001-B. 상세답안.pdf
0.08MB
[민법사례스터디] 002-A. 위험부담의 문제.pdf
0.06MB
[민법사례스터디] 002-B. 상세답안.pdf
0.08MB
[민법사례스터디] 003-A. 비법인사단의 법률관계.pdf
0.05MB
[민법사례스터디] 003-B. 상세답안.pdf
0.08MB
[민법사례스터디] 004-A. 채권자대위권의 문제들.pdf
0.06MB
[민법사례스터디] 004-B. 상세답안.pdf
0.11MB
[민법사례스터디] 005-A. 법률행위의 대리(1).pdf
0.12MB
[민법사례스터디] 005-B. 상세답안(수정본).pdf
0.14MB
[민법사례스터디] 006-A. 채권자취소권.pdf
0.13MB
[민법사례스터디] 006-B. 상세답안.pdf
0.11MB
[민법사례스터디] 007-A. 채권양도(최종본).pdf
0.13MB
[민법사례스터디] 007-B. 상세답안.pdf
0.13MB
[민법사례스터디] 009-A. 변제자대위와 상계.pdf
0.19MB
[민법사례스터디] 009-B. 상세답안(수정본).pdf
0.15MB

ㅡ 2019. 6. 24.

신입생환영회 때 강단에 오르신 안원하 교수님께서는 본인의 분반에서는 개강 직후 형법총론 교과서의 절반(처음부터 책임론까지)에 대해 단답형 10문제, 변호사시험 형사법 기출문제에서 20문제를 개강직후에 시험볼 것이라 알리셨습니다.

그리고 수강신청에 즈음하여 공개된 수업계획서에서는 그러한 시험이 중간시험 직후 1차례 더 있을 예정이라는 점이 예고되어 있었고, 실제로 미수론부터 공범론까지 단답형 10문제, 변호사시험 형사법 기출문제에서 다시 20문제를 중간시험 직후에 시험보게 되었습니다.

이 2차례의 시험 중 특히 단답형 시험에 대비하기 위해 만든 스터디모임이 [개미대책반][판의 미로 조사단]인데, 여기에 그 결과물인 문제를 첨부합니다.

개미대책반은 "안(An)교수님의 테(T)스트에 대한 대책을 세운다"는 취지의 이름이었고, 판의 미로 조사단은 "프로페서(Professor) 안(An)의 2차 퀴즈에 대비하자"는 취지의 이름이었습니다.

[개미대책반] 문제 모음.pdf
0.24MB
[개미대책반] 해답 모음.pdf
0.09MB
[PAN조사단] 문제 모음.pdf
0.18MB
[PAN조사단] 해답 모음.pdf
0.07MB

ㅡ 2019. 6. 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