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시험일을 1주일 앞둔 시점부터 풀기시작했던 LEET 기출문제의 연습결과와 그에 대한 깨달음을 적어두었던 내용입니다.
2008년 예비시험 문제
ㅡ 언어이해 33/40
ㅡ 추리논증 30/40
ㅡ 시작은 나쁘지 않다는 느낌이지만, 시간안배를 위해 많은 연습이 필요함을 느꼈다.
2008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35/40
ㅡ 추리논증 32/40
ㅡ 이번에도 나쁘지 않았으나 속독연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실감했다.
2009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7/35
ㅡ 추리논증 27/35
ㅡ 언어이해의 경우 문제를 풀 때는 문제만 생각해야 한다는 당연한 결론을 떠올리며 반성했다(=딴 생각을 했던 점에 대한 반성). 추리논증의 경우 시간을 절약하려다가 함정(=논리적 비약)을 간과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은 8회분의 문제로 계속 단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계속 연습하기로 했다.
2010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8/35
ㅡ 추리논증 21/35
ㅡ 언어이해의 경우 지금까지 총 4회분을 풀어봤는데, 이 정도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시간관리만 잘 한다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반면 추리논증의 경우 집중하지 않으면 대량의 실수가 나오는 시험이라는 걸 뼈저리게 실감했다. 추리논증을 통해 시간을 관리하며 집중력을 발휘해야 하는 연습을 하기로 다짐했다.
2011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1/35
ㅡ 추리논증 27/35
ㅡ 이번 언어이해에서는 억지로 시간을 맞춰가며 풀려다가 오히려 하지 않아도 될 실수를 거듭했다. 추리논증은 시간에 아슬아슬하게 맞췄는데, 채점하면서 과학지문 등 특정영역에서 특히 오답이 많다는 걸 실감했다. 익숙한 지문과 익숙치 않은 지문의 독해속도가 차이나는 것을 이제와서 극복하기는 어려울 테니 나머지는 출제유형 중 반복적인 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습득해 두는 게 고작이리라 생각했다.
2012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6/35
ㅡ 추리논증 21/35
ㅡ 언어이해는 2013년 즈음부터 약간 어려워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더랬으나 다행히 2012년보다 더 떨어지지는 않았다. 다만 이번에도 시간 관리가 많이 힘들었다. 추리논증의 경우 2011년도 기출문제 수준의 점수가 나왔는데, 집중했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다소 실망스러웠다.
ㅡ
여기까지 거의 복습없이 문제풀이 위주로 진행했고, 그 후 언어이해 부분은 이때까지의 오답분석으로 왜 어느 부분을 틀렸는지 등을 확인했습니다.
(반면 추리논증은 시간부족으로 그럴 여유가 없었습니다)
2013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9/35
ㅡ 추리논증 24/35
ㅡ 언어이해는 복습의 효과가 있었는지 점수가 약간 회복됐고, 시간도 3분 정도 남겼다. 요령은 "어려워 보이는 지문은 빼놓고 나중에 풀기" + "답안지마킹은 마지막에 몰아서 하기"였다. 나머지 회차에서도 연습해보기로 한다. 추리논증은 복습을 못했기 때문인지 여전히 점수가 좋지 않다. 좀더 분발해야 하는데.
2014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31/35
ㅡ 추리논증 26/35
ㅡ 언어이해의 시험전략은 비교적 성공적인 듯 하다. 2016~2018년 기출문제에서도 그 결과가 실증된다면 나름 자신감을 가져도 될 듯 하다. 추리논증에서는 여전히 보완할 부분이 많다. 이번 법학적성시험부터는 추리논증 문제가 더 늘어나니까 좀더 열심히 준비해야 할 테지만, 시간이 그다지 없다.
2015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30/35
ㅡ 추리논증 23/35
ㅡ 이 추세라면 언어이해는 안정적인 점수를 기대할 수 있다. 방심하지 말고 꾸준히 준비해야 되겠다. 추리논증은 여전히 문제다. 하지만 앞으로 20시간 정도 뒤면 실제 시험을 치뤄야 한다는게 문제.
2016년 기출문제
ㅡ 언어이해 25/35
ㅡ 추리논증 27/35
ㅡ 업무처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틈틈이 시간내며 문제를 풀다보니 언어이해에서도 실수가 꽤 발생했다. 혹은 수면부족일지도 모르겠다. 추리논증의 경우 언어이해보다 더 걱정스러웠는데, 그래도 그렇게 나쁜 결과는 아니었다.
2017년 기출문제
ㅡ 시험을 7시간 정도 남겨둔 시점에 풀었고 점수기록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분석을 해둔 것이 남아있습니다.
여기까지 해서 2017년도 문제는 오늘 밤 잠들기 전에 푼다고 했을 때,
첫째, 2008년 예비시험부터 2016년 기출문제까지 10회분의 총점은 언어이해 285/360(79.17), 추리논증 258/360(71.67)이다. 만약 이 비율로 각 30문제, 40문제로 조정된 올해 문제를 득점한다면 기대점수는 언어이해 23/30점, 추리논증 28/40점이 된다.
둘째, 난이도가 널뛰었다는 조언을 기초로 최근 4개년의 득점만 놓고 보면 총 4회분의 총점은 언어이해 115/140(82.14), 추리논증 100/140(71.43)이다. 이 비율로 올해 문제를 득점한다면 언어이해 24/30점, 추리논증 28/40점이 된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목표점수는 언어이해 25~6점, 추리논증 32~3점으로 잡는 것이 타당하고, 이건 바꿔 말하면 언어이해에서 4~5문제, 추리논증에서 7~8문제 정도는 불가피한 손실로 생각하며 다른 문제 풀이를 위해 넘어가도 된다는 뜻이다.
실제 시험 결과
ㅡ 언어이해 66.6, 추리논증 56.6로 나왔습니다.
ㅡ 이것은 원점수로 언어이해 25/30, 추리논증 29/40이라고 하므로 언어이해는 목표달성 성공, 추리논증은 목표달성 실패이지만, 어느 쪽이든 저의 최근 4개년 기출문제 평균점수에 근접한 것이었습니다.
이상으로 저의 LEET 준비에 관한 기록을 마칩니다.
ㅡ 2019. 6. 24.
'부산대로스쿨 > 로스쿨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쿨입시] 면접전형 준비 (0) | 2020.05.21 |
---|---|
[로스쿨입시] 서류전형 준비 (0) | 2020.05.21 |
[로스쿨입시] 법학적성시험(LEET) 준비 (0) | 2020.05.21 |
[로스쿨입시] 로스쿨입시를 준비할 당시의 스펙 (0) | 2020.05.21 |
로스쿨 입시에 대해서 (0) | 2020.05.21 |